지구온난화의 영향은 뭘까?
지구온난화는 가장 대표적인 환경문제입니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우리는 다양한 영향과 피해를 받고 있는데요. 지난번 지구온난화의 원인에 대해 알아본 것에 이어서 지구온난화의 영향과 피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구온난화의 원인
- 온실가스(GHG)
- 태양복사량
- 지구운동
- 태양광 반사율 감소
- 우주먼지
참고 :2023.05.19 - [환경문제] - 지구온난화 : 지구온난화의 원인에 대해 알아보자.
지구온난화 이슈
최근 베트남의 기온이 기상 관측 사상 최고인 44˚C까지 치솟았다고 합니다. 아직 시기상으로 봄철인데 한여름의 폭염 날씨를 보인 것인데요. 베트남뿐만 아니라 방글라데시는 40.6˚C, 타이는 45,4˚C, 특히나 타이는 높은 습도로 인해 체감온도가 50˚C까지 올랐다고 합니다. 인도 뭄바이에서는 지난달 열린 야외 행사장에서 13명이 숨지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지구온난화는 직접적으로 우리의 생활에 피해를 주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두고 기후학자 프리데리케는 "가장 치명적인 기상현상인 폭염의 빈도와 강도가 기후변화로 인해 극적으로 증가했다는 사실이 거듭 확인되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지구온난화의 피해는 폭염뿐만이 아닙니다. 이탈리아 북부를 강타한 폭우와 홍수로 9명이 목숨을 잃고 1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하는 등 최근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폭우와 가뭄의 문제 또한 대두되고 있습니다.
지구온난화의 영향
- 폭염
- 집중호우
- 열대성 저기압의 대형화
- 해일
- 해수면 상승
- 영구동토층의 해빙
- 해양산성화
- 엘니뇨와 라니냐의 변화
- 갯녹음현상
- 한파
- 식량산업
- 삼림과 녹지의 증가
1. 폭염
지구온난화로 인한 가장 대표적인 피해로는 폭염을 들 수 있습니다. 폭염은 평년보다 기온이 매우 높아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인 상태를 말합니다.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전 세계의 평균 기온이 놓아졌으며 이에 따라 생태계, 날씨패턴, 나아가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말라리아, 뎅기열 등 열대성 질병이 확산하게 됩니다. 또한 가뭄과 산불위험의 증가, 사막화 또한 폭염으로 인한 피해입니다.
2. 집중호우
집중호우란 짧은 시간 동안 좁은 면적의 지역에서 많은 비가 내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많은 양의 수증기가 강력한 상승기류에 의해 높게 치솟은 모양으로 만들어진 구름을 적란운이라고 하는데, 이 적란운이 생기는 지역에서는 집중호우가 일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지구온난화로 기온이 상승하면 해양의 증발량이 증가하면서 대기가 많은 양의 수증기를 머금게 되고, 그 결과 집중호우가 일어나게 되는 것입니다. 집중호우가 발생하면 홍수, 산사태 등의 피해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3. 열대성 저기압의 대형화
열대성 저기압의 대형화를 한마디로 정의하면 '태풍'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하는 열대성 저기압으로 인한 자연재해를 우리는 '태풍'이라고 부릅니다. 강풍을 동반한 소나기와 집중호우로 우리는 강력한 피해를 입게 됩니다. 지구온난화가 계속해서 진행된다면 태풍의 위력도 강력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4. 해일
큰 파도를 의미하는 해일은 파도가 높다는 의미가 아닌 해수면 자체가 높아진 채로 지면으로 들이닥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해일은 크게 '지진해일'과 '폭풍해일'로 나뉘는데 지구온난화가 진행될수록 '폭풍해일'로 인한 피해가 증가합니다. 대형 태풍이 육지에 가까워지면 폭우와 바람으로 육지가 쉽게 침수될 수 있습니다.
5. 해수면 상승
지구온난화로 빙하와 빙상이 융해하면서 바닷물의 수위가 높아지는 해수면 상승이 일어나게 됩니다. 수온이 상승하면 열팽창으로 인하여 수면이 높아지게 됩니다. 해수면이 상승함에 따라 지구 표면의 면적이 줄어들어 태양광 반사율이 감소게 됩니다.
6. 영구동토층의 해빙
이미 물에 떠있는 빙산이나 유빙은 해수면 상승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지만 러시아나 캐나다의 영구동토층 또는 육상에 올라와있는 빙하가 녹아 바다로 흘러드는 것이 해수면 상승에 기여하게 됩니다. 영구동토층이 녹으면 일대 지반이 약해져 붕괴사고가 일어날 수 있고, 매장된 다량의 메테인 성분이 대기 중으로 분출되어 지구온난화가 가속될 수 있습니다. 또한 동토층과 해빙에 갇혀있던 고대세균이나 바이러스로 인한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7. 해양 산성화
해양산성화란 기본적으로 염기성을 띄고 있는 바닷물이 점점 산성으로 변해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지구온난화로 해수의 온도가 높아지면 산소의 용해도가 감소하여 수중 생명체가 살아가기 힘든 환경이 됩니다. 실제로 현대 들어서 해양 산성화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는데 이로 인해 탄산칼슘을 섭취해야 하는 조개, 산호가 큰 피해를 입고 있습니다.
8. 엘니뇨와 라니냐의 변화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남동태평양과 서태평 양 사이의 대기압이 시소와 같이 진동하는 남방진동의 강도가 변화하여 남방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엘니뇨와 라니냐의 진동의 폭이 커져 이상기후가 발생하게 됩니다.
9. 갯녹음현상
갯녹음현상이란 연안해역에서 해조류의 급격한 감소로 해중림이 소실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백화현상'이라고도 합니다. 수온상승으로 인하여 석회조류나 조개 등의 탄산칼슘 껍질이 흐물 해져 쉽게 죽게 되고, 그 껍질이 연안 암석이나 수면에 흩어져 흰 껍질이 생기게 됩니다. 이로 인해 갯녹음이 일어난 지역의 해조류가 훼손되고 플랑크톤 등 생산자 역할을 하던 해조류가 사라지는 피해를 입게 됩니다.
10. 한파
성층권에 위치한 강력한 바람을 '제트기류'라고 합니다. 제트기류는 온도경도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온도경도가 강한 겨울철에 더 강하게 나타나게 되는데요. 지구온난화로 이 제트기류가 약화되면서 북극한파가 남하되어 한파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11. 식량산업
온도 및 강수량의 변화로 농업 생산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해충이나 질병으로 인하여 작물 수확량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식량난과 식량 가격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를 들면 옥수수의 경우 2000년까지 24%나 감소했고 그 감소세는 더 뚜렷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12. 삼림과 녹지의 증가
지구온난화는 우리 생태계에 막대한 피해를 주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삼림과 녹지를 증가시켜 지구온난화의 속도를 지체시키기도 합니다. 지구온난화로 이산화탄소가 증가하여 식물의 광합성 작용을 상승시키고 식물의 성장과 확산에 도움을 주기 때문입니다. 기후를 변화시키는 탄소배출과 집중적 토지이용이 어쩌다 보니 지구 식생의 토지 절반을 녹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1980년대 초반 이후 세계적으로 녹화가 활발하게 진행되며 지구온난화의 속도를 0.2˚C정도 늦췄다고 하니 아이러니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이 효과는 크지 않아 실질적인 탄소 배출량이 현저히 초과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구온난화의 해결방안에 대해 알고 싶다면?
'환경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온난화 허구설 (0) | 2023.05.26 |
---|---|
말라가는 푸른별 지구 '사막화' (0) | 2023.05.25 |
해양환경을 위협하는 해양 점액, 바다 콧물(Sea Snot) (0) | 2023.05.24 |
어떻게 지구 온난화를 해결해야 할까? (0) | 2023.05.23 |
지구온난화는 왜 발생하는걸까? (0) | 2023.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