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문제

바다 사막화 '백화현상'

728x90

바닷속의 사막 '백화현상'

최근 한국수산자원공단의 발표에 따르면 국내 바다 암반의 38,000ha 중 12,700ha가량인 33.5%의 면적이 사막화되었다고 하는데요.  '갯녹음'이라고도 불리는 바다 사막화, '백화현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백화현상
백화현상으로 사막화 되어버린 바다

백화현상이란?

'백화현상'바다 사막화, 우리말로 갯녹음이라고 불립니다. 연안 해역에서 해조류의 급격한 감소로 해중림이 소실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해조류가 사라진 자리에는 무절석회조류가 번성하여 암반 표면이 백색으로 변하기 때문에 백화현상이라고 불립니다. 바닷물의 온도가 올라 해조류가 살기 어려워지면서 해조류와 공생하던 산호가 백색으로 삭막하게 뒤덮이게 되는 것인데요. 산호초는 10억 명 이상이 먹을 수산자원을 공급하는 해양 생태계의 인큐베이터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해양생태계가 무너지고 어획량이 감소하여 우리의 생활에도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것입니다. 백화현상은 영어로는 Urchin barren(성게의 불모지)라고 부릅니다. 백화현상이 발생하면 대부분의 해양생물이 소실되지만 마지막까지 살아남는 해양생물이 바로 성게이기 때문인데요. 백화현상이 발생한 지역의 사진을 보면 백색 암반 위에 성게만 무성한 사진을 흔하게 볼 수 있다고 하네요.

백화현상의 원인

1. 해조류 개체수 증가

가장 흔한 생태학적 원인으로, 해조류와 경쟁하거나 포식하는 해양생물의 급격한 번식으로 해조류의 개체수가 급감하여 발생합니다. 해조류와 경쟁하는 생물로는 분홍멍게가 대표적인 예이며, 포식하는 생물로는 성게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동해안의 성게 수출이 값싼 중국산에 밀려 막히면서 성게 채집량이 급감한 것이 백화현상의 주된 원인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2. 탄산칼슘의 고체화

대표적인 화학적 원인으로, 해수에 용해되어 있던 탄산칼슘이 고체화되어 해수에 떠다니거나 해저표면에 내려앉는 것이 백화현상의 원인이 됩니다. 바다와 인접해 있는 방파제는 대부분 콘크리트 재질로 되어있어 해수에 탄산이온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육지로부터 흘러들어 가는 건축 폐기물 또는 콘크리트의 잔해도 마찬가지로 해수의 탄산이온을 증가시킵니다. 뿐만 아니라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증가도 해수에 영향을 끼칩니다. 이렇게 증가된 탄산이온이 칼슘이온과 혼합되면 탄산칼슘의 결정을 이루게 됩니다. 고체화된 탄산칼슘은 해수를 뿌옇게 만들어 일광 투과율을 낮추고, 해저표면을 덮어 해조류의 서식을 방해하게 됩니다.

3. 수온상승

엘니뇨와 같이 수온이 상승하는 시기에 백화현상이 도드라지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2014년~2017년 엘니뇨가 지속되었을 시기에 전 세계 산호초의 70% 이상이 백화현상의 피해를 입었다고 합니다. 수온이 상승하면 공생조류가 과산화수소 등의 유해물질을 배출하여 산호충이 공생조류를 쫓아낸다고 합니다. 또한 고온에 견디지 못하는 해조류가 사라지고 그 자리를 무절석회조류가 차지하면서 사막화가 되는 것입니다.

4. 바닷물 산성화

인류가 배출한 이산화탄소가 바다에 녹아들어 바닷물을 산성화 시킵니다. 이미 전 세계의 바다는 산업혁명 이전보다 30% 정도 더 산성도를 띠고 있다고 하는데요. 이로 인해 바닷물에 녹아있는 아라고나이트라는 탄산 미네랄로부터 골격을 만드는 산호가 바다의 산성화로 인해 미네랄을 제대로 이용할 수 없게 됩니다. 현재와 같은 속도로 바닷물이 산성화 되면 2100년에는 전 세계 산호초가 다 죽을 수 도 있다고 하네요.

5. 해양오염

인간이 사용하는 오염물질이 바다로 흘러들어 가면 바다 퇴적물에 유기물이 쌓이고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산소를 고갈시키고 황화수소를 배출합니다. 이로 인해 해양 산성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시아 태평양 산호초의 3분의 1이 플라스틱으로 뒤덮일 만큼 플라스틱에 의한 오염이 심각한데요. 플라스틱뿐만 아니라 자외선 차단제의 일부 성분이 해양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되면서 괌에서는 옥시벤존과 옥티노세이드가 함유된 자외선 차단제의 판매와 유통을 금지시키는 법안을 통과시켰다고 하네요.

해결방안

1. 바다숲 조성

바다숲은 해조류가 소실되어 가는 해역애 바닷말 군락을 인위적으로 조성하여 해역 생태계의 건강을 회복하게 만들어주는 것을 말합니다. 바다숲은 연안 생태계의 건강성을 증가시키고 수산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등 백화현상을 완화시킵니다.

2. 바다 쓰레기 줄이기

해양으로 흘러들어 간 플라스틱 등의 쓰레기는 백화현상의 주범이 됩니다. 또한 어업활동으로 인한 그물, 부표 등 어업쓰레기가 바다 쓰레기의 절반을 차지한다고 하는데요.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고 바다 쓰레기를 줍는 등 노력이 필요합니다.

3. 어류 소비 줄이기

무분별한 어업활동은 바다 사막화를 심화시킵니다. 어업 쓰레기뿐만 아니라 무분별한 어업으로 인해 해양생태계가 파괴되면 백화현상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728x90